피부과 전문의가 말하는 아토피 치료법의 최신 동향 (2025년 기준)
아토피 피부염은 그동안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근 들어 의학의 발전과 함께 치료에 대한 접근 방식이 점차 달라지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피부과 전문의들이 권장하는 아토피 치료법은 약물치료부터 생물학적 제제, 생활요법까지 보다 체계적이고 맞춤화된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최신 아토피 치료법에 대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소개합니다.
1. 국소 스테로이드제 및 면역억제제의 활용
가장 기본적인 아토피 치료는 염증 완화를 위한 국소 도포제입니다. 스테로이드제는 빠르게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 효과적이지만, 장기 사용 시 피부 얇아짐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중증도에 따라 강도 조절: 증상 부위와 단계에 따라 저용량에서 고용량까지 선택적 사용
- 스테로이드 대체제로 프로토픽(타크로리무스) 등 면역억제제 사용 증가
- 염증 진정 후에는 유지치료용 약제와 보습제로 전환
2. 생물학적 제제(Dupilumab 등)의 보급 확대
중증 아토피 환자를 위한 획기적인 치료제로 주목받는 생물학적 제제는, 기존 약물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도 높은 치료 효과를 보입니다.
- 듀피루맙(Dupilumab): 인터루킨-4, 13을 억제하는 주사제로 2주 1회 투여
- 2025년 기준, 건강보험 일부 적용 확대로 접근성 증가
- 눈 주위 건조나 결막염 등의 경미한 부작용이 있으나, 전체적인 안전성 우수
3. JAK 억제제: 먹는 약의 새로운 선택지
최근 각광받는 치료제 중 하나는 바로 JAK 억제제(야누스 키나아제 억제제)입니다. 이는 염증 반응 경로를 억제하여, 빠른 효과를 보이며 경구복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 대표 약물: Upadacitinib(우파다시티닙), Abrocitinib(아브로시티닙)
- 보통 1일 1회 복용, 1~2주 내 눈에 띄는 개선 효과
- 면역 억제 성분이 있어 감염 주의 및 정기적인 혈액검사 병행
4. 광선치료(광요법)의 병행 치료
약물 외의 치료 방법으로는 자외선(UVB) 광선치료가 있으며, 피부 염증을 억제하고 가려움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 주 2~3회 병원 방문하여 일정량의 자외선 조사
- 스테로이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장점
- 치료 기간 동안의 지속성 확보가 중요
5. 맞춤형 치료와 생활환경 개선
2025년 기준 아토피 치료는 더 이상 단일 치료에 의존하지 않고, 환자별 증상과 환경에 맞춘 맞춤형 전략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보습제 종류, 식습관, 스트레스 상태 등 생활 요인에 대한 분석 병행
- 전문의 상담을 통한 장기 치료 플랜 설계
- 식이요법, 스트레스 관리, 실내 환경 조절 등 통합 관리 방식 채택
6. 아토피 치료의 최신 흐름 요약
치료 방법 | 특징 | 적용 대상 |
---|---|---|
국소 스테로이드 | 빠른 염증 완화, 부위별 강도 조절 | 초기~중등도 아토피 |
생물학적 제제 | 고효과 주사제, 내성 낮음 | 중증 아토피 |
JAK 억제제 | 먹는 치료제, 빠른 효과 | 스테로이드 효과 미흡 환자 |
광선 치료 | 약물 부담 줄이는 비약물 치료 | 약물 부작용 우려 환자 |
마무리
아토피 피부염은 2025년 현재에도 완치를 장담하기는 어렵지만, 개인 맞춤형 치료와 다양한 신약의 등장으로 관리 가능성이 과거보다 훨씬 높아졌습니다. 단기적인 개선보다는 장기적인 관리를 목표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나에게 맞는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아토피에 좋은 샴푸와 클렌저 고르는 법에 대해 안내해드릴 예정입니다. 피부 외부에서 시작되는 관리도 매우 중요하니 꼭 확인해보세요.